본문바로가기 메인메뉴바로가기 메인메뉴바로가기

알림마당

보도자료

"[보도참고자료]의료중재원, 2020년도 의료분쟁조정중재 통계연보 발간" 상세페이지

제목, 작성자,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.

[보도참고자료]의료중재원, 2020년도 의료분쟁조정중재 통계연보 발간

  • 작성자박은혜
  • 작성일2021-04-12
  • 조회수10702

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「2020년도 의료분쟁 조정·중재 통계연보」발간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​
◇ 2020년도 전체 상담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나, 온라인ㆍ우편 상담이 2019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
 - 전체 상담량은 전년도 대비 11.5%(7,364건) 감소하였으나, 온라인 상담은 18.8%(764건), 우편상담 214%(702건) 증가

◇ 최근 5년간 조정개시율은 지속적으로 증가
 - 전년도 대비 조정 신청접수 및 개시 건수는 감소하였지만, 조정개시율은 매년 증가추세로 2019년 63.4%에서 2020년 65.3%로 1.9%p 상승

◇ 의료사고 감정결과 사고내용은 최근 5년간 ‘증상악화’가 가장 많아
 - 증상악화, 진단지연, 감염, 장기손상, 신경손상 순으로 의료사고 감정결과 상위 5개 사고내용 차지

◇ 최근 5년 동안 조정 개시된 사건 중 86.6%가 조정 성립되었으며, 성립금액 총액은 466억 원, 평균 사건 처리기간은 105.5일
 - 2020년은 전년도 대비하여 조정성립률은 83.1%로 3.4%p 감소하였고, 평균 성립금액은 1,194만 원으로 300만 원 증가하였으며, 평균 사건 처리기간은 122.7일로 15.4일 증가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​
□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(원장 윤정석, 이하 ‘의료중재원’)은 「2020년도 의료분쟁 조정ㆍ중재 통계연보」(이하 ‘통계연보’)를 발간하였다
 ○ 금번 발간한 통계연보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처리한 의료분쟁 제도운영 관련 통계데이터를 기본으로 부산지원 통계표 신설 및 보건의료기관 측의 조정‧중재 신청 및 처리현황을 추가하여 대항목 12개, 소항목 342개로 확대구성하였다.



□ 통계자료에 따르면 의료중재원이 제공하는 의료분쟁 상담 중 전화 상담이 가장 큰 비중(89.5%)을 차지하고 있으며, 온라인 상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 ○ 최근 5년간 의료분쟁 상담 누적 28만 건을 실시하여 연평균 4.9% 증가 하였으나, 2020년은 방문상담 감소의 영향으로 4.8%감소하였다

 ○ 의료분쟁 조정 신청도 연평균 3.8% 증가하여 최근 5년간 누적 12,293건으로 나타났다. 2020년은 총 2,216건을 접수하였으며, 연평균 증감률로 볼 때 온라인이 상대적으로 큰 증가율(18.4%)을 보이고 있다.

 ○ 최근 5년간 지역별 조정 신청은 수도권인 서울(2,926건, 23.8%), 경기(3,079건, 25.0%), 인천(821건, 6.7%)이 전체 신청 건의 55.5%를 차지하였고, 이 외에 부산(995건, 8.1%), 경남(785건, 6.4%) 순으로 나타났다.



□ 최근 5년간 조정 신청된 사건의 59.0%에서 조정절차가 개시되었으며, 2020년의 조정개시율은 65.3%로 전년도대비 1.9%p 상승하였으며, 2016년 이후로 조정개시율은 지속적인 상승하고 있다.

 ○ 조정 신청이 많은 상위 5개 보건의료기관 종별 조정개시율은 상급종합병원의 조정개시율이 67.4%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.
 - 2020년의 경우 상급종합병원 74.7%, 치과의원 73.9%, 종합병원 70.7%순으로 높았다.



□ 감정 처리 결과 상위 3개 사고내용은 증상악화(30.7%), 진단지연(8.5%), 감염(8.4%)의 순으로 나타나, 5년 연속 증상악화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.

○ 의료행위별로 보면 의과는 수술(38.4%), 치과는 임플란트(2.2%), 한의과는 침(1.0%) 약제과는 조제(0.1%)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.



 최근 5년간 조정절차를 마친 5,856건 중 4,208건의 조정이 성립되었고, 총 성립금액은 446억 원으로 나타났다.

 ○ 조정절차 중 당사자 간 합의로 조정이 성립되는 경우가 3,548건(60.6%), 합의가 되지 않아 조정위원회에서 조정 결정을 내린 1,302건(22.2%) 중 653건(11.2%)이 신청인과 피신청인의 최종 동의하에 조정이 성립된 것으로 나타났다. 이외에 화해중재, 중재판정으로 중재가 성립된 건은 7건(0.1%)이었다.

○ 최근 5년간 누적 조정성립률은 86.6%로 나타났다. 2020년의 경우 83.1%로 전년(2019년)대비 3.4%p 감소하였다.

○ 조정ㆍ중재가 성립된 4,208건의 평균 성립금액은 약 1천만 원,     총 성립금액은 약 446억 원으로 나타났다.


□ 조정절차 자동개시는 절차 시행(2016.11.30.) 후 4년간 총 1,936건이 접수되었으며, 이중 사망 사건이 91.9%를 차지하였다.

 ○ 종결된 1,749건 중 합의가 677건(38.7%), 성립이 180건(10.3%)이며 조정성립률은 77.2%, 평균 성립금액은 1,874만 원으로 나타났다.



□ 부산지원 개원('19.5.2.) 이후의 의료분쟁 조정 신청 건수는 총 940건으로 이 중 개시된 사건은 625건이며, 종결된 사건 539건 중 332건이 조정성립 되었다.

○ 조정 성립 총 금액은 36억 원이며, 평균 성립금액은 1,086만원, 최고성립금액은 51,587만 원으로 나타났다.



□ 다른 기관에서 의뢰한 의료사고 수탁감정의 접수 건수는 최근 5년간 3,647건으로 법원(1,780건, 48.8%)이 의뢰가 가장 많았다.

○ 감정 처리가 완료된 3,392건을 보건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병원이 27.9%로 가장 많았고, 종합병원 21.4%, 의원 21.2%, 상급종합병원 18.9% 순으로 나타났다.

○ 사고내용별 수탁감정 결과 상위 3개 사고내용은 증상악화(24.8%), 장기손상(17.6%), 출혈(9.9%)의 순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.


□ 조정ㆍ중재가 성립되었지만 피신청 의료기관이 손해배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신청인이 배상금을 지급받지 못한 사건에 대해 손해배상금 대불제도를 통해 100건, 총 53억123만 원을 지급하였다.


□ 산부인과 분만 관련하여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으로 최근 5년간 114건이 청구되어 93건, 총 22억3,500만 원을 보상금으로 지급하였다. 



□ 윤정석 원장은 “2020년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원격영상회의 등 비대면ㆍ언택트 업무기반을 마련하고, 간이조정제도 활성화, 감정업무 표준화, 조정신청서 작성지원 확대 운용 등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여 국민을 위하여 중단 없는 의료분쟁 조정ㆍ중재 업무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기울였다”며,

 ○ “의료분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발간한 2020년 통계연보가 정부기관, 대학, 연구기관 등은 물론 의료분쟁 조정제도 관련 통계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에게 가치 있는 자료로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”고 덧붙였다.



□ 의료중재원은 통계연보를 관련 기관 및 단체에 배포하고, 홈페이지 [다운로드 위치: (www.k-medi.or.kr) ☞ 알림마당 ☞ 자료실 ☞ 정기간행물]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.





이전,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전글 [보도참고자료]의료중재원 '야간 유선 상담 서비스'도입
다음글 [보도참고자료]의료사고예방소식지 17호 발간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