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바로가기 메인메뉴바로가기 메인메뉴바로가기

의료사고예방

비 정기간행물

"건강검진 전 꼭 알아두어야 할 의료사고 예방 Tip" 상세페이지

제목, 작성자,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.

건강검진 전 꼭 알아두어야 할 의료사고 예방 Tip

  • 작성자오화영
  • 작성일2019-10-01
  • 조회수9443



건강검진 관련 의료사고 예방 Tip Tip 01 검사 전 나의 상태를 의사에게 정확하게 설명하기 내가 가지고 있는 질환, 이전 수술, 진단 받은 이력, 내가 먹고 있는 약, 알러지 등을 정확하게 설명해야 적절한 진단,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 Tip 02 각 검사의 목표질환을 정확히 알기 건강검진으로 모든 질환을 진단하는 것은 아닙니다. 일반 건강 검진은 고혈압,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목적으로 하고, 국가에서 제공하는 암검진은 5대암(자궁경부암, 유방암, 대장암, 위암, 간암)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. 각 검사를 받을 때는 그 검사로 진단 받을 수 있는 질환이 어떤 질환인지 꼭 확인합니다. Tip 03 건강검진주기와 상관없이 증상이 발생하면 진료받기 내원 후 얼마 되지 않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다 진단 및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. 내원 주기가 되지 않았어도, 새로운 증상이 생기고, 지속된다면 꼭 진료를 받습니다. Tip 04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질문하기 검사나 시술을 받을 때 설명을 듣고, 설명을 들어도 알 수 없는 부분이나 궁금한 부분은 꼭 질문합니다.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서는 의료사고 관련 무료 상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의료전문상담인력과 조사관(의료인), 심사관(법조인)이 있어 방문, 전화, 우편, 팩스, 인터넷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위치 안내(서울) : 4호선 서울역 10번출구 맞은편(서대문 방면)의 서울시티타워 18층 / 위치안내 (부산) : 연산역 방면 부산 1호선 시청역에서 오른쪽의 국민연금공단빌딩 13층 -이용시간 : 월요일~금요일 (오전9시, 12시, 오후 1시 ~ 6시) -방문상담을 하기 전 전화문의를 하시면 좀 더 빠른 상담이 가능합니다. -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상담이 가능합니다.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서울특별시 중구 후암로 110 서울시티타워 18층(상담센터) Tel 1670-2545 건강검진 전 꼭 알아두어야 할 의료사고 예방 Tip - 건강검진 중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 이것말 알아두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.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함께 풀어요, 의료사고 함께 웃어요, 분쟁해결 건강검진 중 의료사고 발생? 내 몸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건강검진을 받고 있지만 검진 과정에서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? 의료중재원에 접수된 건강검진 관련 사건을 분석한 결과, 2012년 4월~2017년 12월까지 접수된 100건의 사건 중 내시경 검사 중 사고 발생이 45%, 암 진단지연이 40%로 나타나 건강검진 관련 사건의 85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건강검진 중 발생하는 의료사고 현황 (2012년 4월~2017년 12월 의료중재원 접수 사건 기준, 단위 : 건) 검사과정에서 사고 발생 - 내시경 검사 : 45건, 기타 검사 :6건 진단관련 - 암 진단지연 : 40건, 기타 질환 진단지연 : 6건, 정상을 오진 : 1건 기타(타인 결과지 교부 1건, 영상 재촬영 1건) 총 두 건 합계 100건 사례 01 대장내시경 중 천공 발생 간호사 : 검사는 끝났습니다. 결과가 나오면 알려드리겠습니다. 환자 : 아이고 배야~ 환자 : 선생님 갑자기 배가 뻣뻣하고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록 아픕니다. 의사 : 원인이 뭔지 빨리 검사부터 합시다. 의사 : 대장천공인 것 같습니다. 의사 : 내시경 도중에 대장에 천공이 생긴 것 같습니다. 환자 : 대장에 구멍이 났다구요 ? 이거 전적으로 의료사고 아닙니까 ? 의사 : 100% 저희 잘못은 아닙니다. 과거 환자분께서 받으셨던 충수돌기절제술로 장유착이 된게 원인입니다. 메디 : 다투지 말고 합리적으로 생각하세요. 대장질환이 있거나 복부 수술을 받았던 분이라면 내시경 중 천공 발생 가능성이 커집니다. 그래서 이런 분은 시술 전 의사에게 과거 질환에 대해 꼭 알려야 합니다. 꼭 알아두어야 할 의학정보 : 병원에서 검사나 치료를 받을 때에도 본인의 현재 및 과거 질환이나 수술력, 복용하고 있는 약물, 알러지 등을 알리면 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고, 의료사고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. 사례 02 유방안 진단지연 의사 : 유방 초음파 결과 종양이 확인되어 조직검사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. 환자 : 종양이요? (조직검사 후) 의사 : 검사결과 다행이 아무런 이상이 없습니다. 환자 : 휴~다행이네요 ~ (1년뒤, 유방암 검진센터) 간호사 : 그동안 자가 검진은 잘 하셨나요? 별다른 증상은 없었나요? 환자 : 조금 이상한 적이 있었지만 큰 문제는 없는것 같아요. 의사 : 검사결과 악성종양이 발견되었습니다. 서둘러 수술을 하는게. 환자 : 뭐라구요? 1년전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하셨잖아요? 메디 : 불행한 일을 당하셨군요. 유방암은 2년이 검진주기이지만 갑자기 이상한 증상이 생기면 2년이 지나지 않았어도 의사의 진료와 추가 검사를 받는게 좋아요. 꼭 알아두어야 할 의학정보 : 유방암뿐만 아니라 5대 암검진도 증상이 발현되지 않는다면 권고 주기에 맞춰 검진을 받는 것이 좋으나 새로운 증상이 발견되면 꼭 진료 및 추가 검사를 받아야 진단의 지연을 막을 수 있습니다.
이전,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전글 2018년 의료사고 예방업무 활성화 워크숍(하반기)
다음글 2018년 의료사고 예방업무 활성화 워크숍(상반기)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?